본문 바로가기
alcoholic beverage

포도 품종에 따른 화이트 와인의 종류

by 임쥬스 2023. 4. 18.
728x90
반응형
화이트 와인을 만드는 것에 많은 포도 품종이 사용될 수 있다.

백포도주는 어떤 음식과 잘 어울릴까?


1. 샤르도네
부르고뉴에서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샤르도네 같은 경우, 다른 화이트 와인과 비교해 보았을 때 바디감이 무겁고 풍부하여 상큼한 귤맛이 난다. 이 와인과 페어링 하기 좋은 음식은 주로 생선이나 가금류이다. 또한, 프랑스에서 미국, 아프리카까지 기후와 지질에 매우 적응을 잘하는 포도 품종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2. 소비뇽블랑
프랑스와 보르도 포도밭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의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소비뇽블랑은 전혁적으로 채소의 향으로 기억된다. 그래서 맛이 단조롭고 포도의 품종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주로 사과, 배와 같이 신맛이 나는 과일부터 멜론, 망고 등 열대과일의 맛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주로 해산물과 가금류, 샐러드와 함께 페어링 된다.

3. 리슬링
독일의 포도밭에서 주로 재배되었다. 대륙성 기후에서 고품질의 포도가 수확되기 때문에서 수확량이 제한적이다. 리슬링과 잘 페어링 되는 음식은 일반적으로 생선, 닭고기, 돼지고기이다.

4. 무스가 토
특정향을 가진 품종의 포도로 만들어진다. 주로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에서 재배되는 포도로 생산되며 달콤한 과일의 맛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과 굳이 페어링 하지 않아도 괜찮은 와인이다.

5. 쁘띠 아르바인
스위스에서 유래된 와인이다. 아주 오랜 시간 전부터 전통적으로 만들어진 와인이다. 두꺼운 껍질의 포도에서 추출된 와인이기 때문에 중간적 정도의 드라이함을 가지고 있다. 또한, 스위스에서 가장 유명한 포도 재배 지역에서 자주 재배되는 품종으로 이 지역의 대표적인 와인이 되었다. 이는 주로 북유럽의 가벼운 음식과 페어링 하기 좋다.

6. 에어렌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생소한 와인이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가장 넓은 재배지역을 가지고 있어 술타나 다름으로 많이 만들어지는 품종이다. 스페인에서 독점적으로 재배되며, 낮은 밀도로 심어진다. 따라서, 다른 와인들에 비해 맛이 풍부하기보다는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을 생산한다.

7. 카타르토 비앙코 코무네
주로 이탈리아 남부에서 생산되는 품종이다. 향이 굉장히 좋고 알코올의 도수가 높은 와인을 만들어낸다. 마르살라와 마데이라 와인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포도의 품종이다.

8. 첸인 블랑
프랑스와 남아프리카에서 재배되는 포도 품종이다. 토양의 품질에 따라 맛이 다양한다. 건조한 와인 혹은 달콤한 과일 같은 와인을 만들어낸다. 오래 보관하기 좋기 때문에 숙성된 와인을 만들어내기 좋다.

9. 마카베우
스페인에서 재배되는 포도이다. 이는 스파클링 와인인 카바를 만드는 것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드라이하고 과일맛이 나는 강한 와인을 생산한다.

10. 세밀 롱
보르도 포도원에서 재배되는 포도이다. 보르도와 베르제라크의 달콤한 와인을 만들어내는 게 주로 이용된다.

11. 트레비아노 비앙코 / 우그니 블랑
이탈리아의 포도 품종 중 하나로서 프랑스에서 코냑이나 아르마냑을 위해 생산되는 품종이다.

12. Viognier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되며 과즙이 풍부하여 섬세한 맛을 가진 포도주를 생산한다.

13. 그르나슈 블랑
산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대체로 양질의 드라이한 맛을 가진 와인을 생산한다. 자연스럽게 달콤한 고품질의 와인을 만든다.

14. 피노누아 / 피노뫼니에
샴페인과 로제와인을 만드는 것에 사용된다. 이탈리아의 베네치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는데 포도의 색깔이 노란색에서부터 연한 분홍색까지 다양하다. 전형적인 과일맛을 가지고 있으며 다채롭게 음식을 조합할 수 있다.

15. 소비뇽 그리스
소비뇽 블랑을 로제로 만드는 것에 사용된다. 다른 와인들에 비하여 설탕이 월등하게 풍부하며 향이 매우 강한 편에 속한다. 그러므로 특히 달콤한 와인을 생산하는 것에 적합하다.

16. 그레나슈 그리스
그레나슈의 로제 형태로 만들 수 있는 포도 품종이다. 핑크색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산화로 인해 어두운 색을 띠는데, 이는 천연 스위트 화이트 와인이다.


드라이 화이트와인


설탕 없이 산도와 알코올 만으로 맛을 내야 하기 때문에 개발하기 매우 어려운 와인이다.

요리학적 측면의 화이트와인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은 짜거나 달콤한 요리에 의해 맛이 감소되는데 무거운 지방이 많은 음식이라면 그 맛을 강조한다. 또한, 단맛이 나는 와인은 음식의 풍미를 높여 요리와 잘 어우러지는 경향이 있다.





728x90
반응형